AI 부스트캠프(20)
-
[Day 3] 파이썬의 자료구조
파이썬의 기본 데이터 구조 스택과 큐 스택(stack) : 늦게 들어온(push) 데이터가 먼저 나간(pop)다 (LIFO) / push = append 큐(queue) : 먼저 들어온(append) 데이터가 먼저 나간(pop(0))다 (FIFO) 튜플과 집합 튜플(tuple) : 값의 변경이 불가능한 리스트(static 이라고 생각하면 될듯) / () 로 선언 및 사용 집합(set) : 값을 순서없이(unordered) 저장 + 중복 허용 안함(C++의 unordered_set과 동일) 딕셔너리 : 데이터를 저장 할때 구분 값과 같이 저장(C++의 map과 비슷한듯?) / key : value deque 장점 1: list에 비해 효율적이고 빠른 자료 저장 방식 장점 2: linked list의 특성을..
2021.08.04 -
[Day 2] 파이썬의 String
▷ 문자열 string은 1바이트 크기로 한 글자씩 메모리 공간이 할당된다. ex) string = s | t | r | i | n | g | 정수형 타입 중 long형은 C++와는 다르게 크기가 무제한이고, 표현범위 또한 무제한이다. 내가 생각하는 문자열의 가장 중요한 특징 >>> list(배열)와 같은 형태로 데이터를 처리한다. ex) s = abc 는 s[0] = a, s[1] = b, s[2] = c 로 표현가능. 문자열 슬라이싱 전 범위 = s[ : ] 지정 범위 = s[0 : 7] (0번째부터 6까지)/ s[-1 : ] (-1번째부터 끝까지) 특정 범위 = s[ : : 2 ] (전범위를 2칸단위로) 문자열의 중요하고 기본적인 함수들 (외워두면 편하다) len(s) = 문자열 개수 반환 s.up..
2021.08.03